안녕하세요. 강팀장입니다. 여성에게는 또 다른 생명을 임신하여 출산을 한다는 것이 축복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난임을 유발할 수 있는 여성질환에 대해서 다루어 보려 합니다. 질환은 바로 다낭성 난소 증후군입니다. 다낭성 난소 증후군은 여성에게 흔하게 생길 수 있는 내분비 질환 중 하나입니다. 다낭성 난소 증후군을 제때 치료하지 않는다면 난임의 원인이 될 수 있으니 미리 알고 대비하셨으면 합니다.
다낭성난소증후군(정의,진단,원인,치료)
1.다낭성난소증후군 정의
보통 3개월 이상 월경을 하지 않거나 1년에 8번 미만의 월경이 있고 초음파 검사상 난소의 가장자리를 따라 작은 난포가 염주알처럼 여러 개 늘어나 있는 모양이 보이게 될 때, 다낭성 난소 증후군으로 진단합니다.
난소에서 난자가 배출되지 못하는 배란 장애가 있는 여성에게서 다낭성 난소의 초음파 소견이나 고안드로겐혈증 증상이 나타날 경우, 다낭성 난소 증후군으로 진단된다고 합니다. 불규칙한 생리주기로 배란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임신이 잘 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caption id="attachment_86" align="aligncenter" width="2221"]
다낭성 난소 모양 이미지[/caption]
여기서 잠깐!‘고안드로겐혈증’ 조금은 생소한 용어이지요? 이해를 돕기 위해 간단히 설명을 드리자면
고안드로겐혈증 : 안드로겐(남성호르몬)이 과다한 상태를 말합니다. 이로 인해 다모증, 여드름, 남성형 탈모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2.다낭성난소증후군 진단
산부인과 병원에 가게 되면 증상이나 생리주기를 확인하며 정확한 진단을 위해 필요한 검사들이 진행이 됩니다. 진단을 위한 대표적인 검사로는 혈액 검사, 초음파 검사로 진단이 가능합니다.
아래 기준 중 2개 이상이라면, 다낭성 난소 증후군으로 진단이 됩니다.
1)만성 무배란 : 최근 월경 주기에서 배란일 이후 황체호르몬의 농도 측정
2)고안드로겐혈증(남성호르몬 과다) : 탈모, 여드름이 많이 생기거나 혈중 안드로겐 수치 상승
3)초음파 검사 다낭성 난소 모양 관찰 : 2~9mm 크기의 난포가 초음파상 12개 이상 관찰 또는 난소의 부피 증가
4)비만 : 다낭성 난소 질환의 환자 50~70%가 비만에 해당된다고 합니다.
3.다낭성난소증후군 원인
다낭성 난소 증후군에 걸리게 되는 원인은 현재 밝혀지지 않고 있다고 합니다. 호르몬 분비 교란으로 생겼다라는 대략적으로 원인은 알려져 있지만, 호르몬 분비 교란이 생기는 원천적인 이유는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다낭성 난소 증후군의 발생 원인에도 유전적 인자 및 환경적 인자로 인한 것으로 추측할 뿐입니다.
4.다낭성난소증후군 치료
다낭성 난소 증후군 치료는 비혼 여성과 기혼 여성(임신을 원하는 여성)을 구분하여 치료가 진행됩니다. 만약 난임의 원인으로 다낭성 난소 증후군을 진단받
다낭성난소증후군(정의,진단,원인,치료)
았다면 난임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좀 더 체계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1)체중 조절&식이요법 : 체중 조절을 하면 다모증과 여드름 등의 증상이 나아지며 생리 주기와 배란이 안정화 될 수 있습니다.
2)불규칙한 생리주기 교정 : 정기적으로 피임약을 먹으면서 생리를 유도하여 생리 주기를 교정할 수 있습니다.
3)고안드로겐혈증 증상 교정 : 피임약과 남성호르몬을 억제하여 탈모를 치료하는 약물인 항안드로겐제제를 사용하여 남성형 탈모 치료합니다.
끝으로 이 질환의 질병명이 ‘증후군’인 이유는 근본적인 발생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확실한 원인이 밝혀지게 된다면 다낭성 난소 증후군이 아닌 다낭성 난소병으로 바뀌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합니다.
지금까지 다낭성난소증후군(정의,진단,원인,치료)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난소 낭종 치료
'건강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속쓰릴때 먹는 음식, 속 아플때 먹는 음식 5가지 (0) | 2024.08.17 |
---|---|
난소기형종 (정의,증상,원인,진단,검사,치료,단일공 복강경 수술) (1) | 2024.08.16 |
난소낭종 정의,원인,증상,치료 (0) | 2024.08.15 |
난소암 원인,초기증상,검사,치료방법 (0) | 2024.08.15 |
아보카도 효능 칼로리 영양성분 보관방법 (1) | 2024.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