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강팀장입니다. 더운 여름철, 요즘 날씨가 폭염으로 35도를 넘는 더위가 지속됩니다. 오전 11시만 되어도 폭염주의 경보가 울리기 쉬운 날씨! 이런 날씨에 야외에서 일하는 분들은 일사병과 열사병을 조심해야 합니다. 여름철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일사병과 열사병은 어떤 차이가 있고 예방 방법,응급처치는 무엇일까요? 일사병 열사병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사병VS열사병 차이? 예방 방법, 응급처치
온열질환의 종류로는 일사병과 열사병이 있습니다. 먼저 온열질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온열질환]
온열질환이란? 고온의 환경에 오랜시간 노출이 되면 우리 몸은 두통, 어지러움,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 이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상태가 지속되면, 생명이 위험해질 수 있는 질환을 말하는데 이 질환에는 일사병과 열사병이 있습니다. 일사병이 심해지면 열사병으로 발전될 수 있습니다.
일사병 : 강한 햇볕에 오랜 시간 노출되어 땀을 많이 흘리며 생기는 온열질환
열사병 : 더운 날씨에 체온이 계속 되었을 때 생기는 온열질환
[일사병VS열사병 차이]
[일사병]
땀을 많이 흘리고 두통, 구토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수분 보충이 원활하지 않아 수분이 감소하여 탈수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데 소변의 색이 진하고 냄새가 심해지면서 탈수 증상이 진행됩니다.
[열사병]
체온 조절 중추가 기능 이상으로 몸속의 열을 발산하지 못하는 질환으로 고열, 의식변화, 땀이 나지 않는 상태입니다.
[일사병VS열사병 차이]
[일사병]
신체 온도가 37~40도까지 올라가며 기력 저하, 어지러움, 구역질 증상이 나타나는데 실신을 하거나 근육 경련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열사병]
열을 배출하지 못해 체온이 40도가 넘어가면서 헛소리나 혼수상태 등 의식장애를 보이거나 발작, 환각 등을 보일 수 있습니다. 열사병 증상이 오래 지속되면 여러 장기가 손상되어 쇼크를 일으킬 수 있으며 사망에 이를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합니다.
[일사병VS열사병 차이]
일사병 : 37~40도 체온 유지 / 비교적 정신적 상태유지 / 피부 땀으로 축축
열사병 : 40도 이상 고열 / 비정상적인 정신상태 / 뜨겁고 건조한 피부
[일사병VS열사병 치료]
[일사병]
시원한 곳에서 충분한 휴식을 취해야 하며, 정상적인 의식이 있고 구토 증상이 없다면 물 또는 이온음료를 마셔주는 것이 좋습니다. 증상이 지속되거나 탈수가 심해지면 병원 치료를 통해 수액 보충이 필요합니다.
[열사병]
체온을 낮추는 것이 가장 중요한 치료입니다. 의식이 없다면, 119에 신고하고 질식의 위험으로 물을 먹이지 않아야 합니다. 시원한 곳에서 옷을 제거한 상태로 물수건으로 몸을 덮어 시원한 바람으로 체온을 낮춰주어야 합니다.
[일사병VS열사병 예방 방법]
일사병과 열사병은 예방이 가장 중요한데 높은 온도의 환경에 오랜시간 있는 상황을 피해야 합니다. 야외 활동을 할 때에는 자주 그늘에서 휴식 시간을 갖고 물을 충분히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단, 술, 커피, 탄산 보다는 물 또는 전해질이 풍부한 음료로 수분을 공급해주어야 합니다.
1.피부 보호하기
: 햇볕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챙이 넓은 모자, 선글라스, 양산 등으로 보호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SPF 30 이상인 선크림을 발라 피부를 보호합니다.
2.물 자주 마시기
: 갈증이 느껴지기 전에 자주 몸을 마시면 적당한 수분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탈수 증상이 일어나기 쉬운 여름철, 목이 마르지 않아도 규칙적으로 물을 조금씩 마셔줍니다.
3.시원하게 지내기
통기성이 좋고 열이 오래 보존되지 않는 헐렁하고 가벼운 옷을 입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어두운 색깔의 옷보다는 밝은 색깔의 밝은 색깔의 옷이 열 반사에 더 좋습니다. 옷을 벗는 것은 햇볕에 직접 노출이 되니 위험할 수 있습니다.
4.높은 온도의 시간에는 충분히 휴식하기
여름철 특히, 낮 12시부터 오후 5시까지는 하루 중 가장 더운 시간으로, 되도록 휴식을 취하고 건강 상태를 확인하여 야외 활동을 조절하도록 합니다.
5.고카페인 마신 뒤 야외활동 하지 않기
다량의 카페인 음료를 마신 후에 야외 활동을 하면 위험합니다. 당뇨, 뇌졸중,심혈관 질환이 있는 분들이라면 야외활동을 자제해야합니다.
주변사람에게 일사병이나 열사병 증상이 보인다면, 그늘지거나 서늘한 곳으로 옮기고 옷을 느슨하게 하여 바람이 통하도록 해주어야 합니다. 젖은 담요로 감사서 찬물을 부어주거나 선풍기 등을 이용해 체온을 낮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의식을 잃거나 증상이 악화되는 경향을 보이면, 즉시 병원으로 이동해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 일사병과 열사병은 빠른 대처가 중요합니다.
지금까지 일사병VS열사병 어떤 차이? 예방 방법, 응급처치까지 알아보았습니다. 일사병과 열사병 증상이 심해지면 혼수상태까지 이를 수 있으니 미리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건강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 재유행 FLiRT(플러트) 증상 무료검사 2024 상비약 (0) | 2024.08.21 |
---|---|
담걸렸을 때 목 담걸렸을 때, 어깨 담걸렸을 때, 담 걸렸을때 병원 (0) | 2024.08.21 |
아플 때 어느병원? 내과,이비인후과,신경과,신경외과,외과,정형외과,피부과 (0) | 2024.08.20 |
감기와 비슷한 증상의 질병 5가지 구별법 (0) | 2024.08.19 |
기침감기어느병원 가야하지? 감기 증상별 진료 (0) | 2024.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