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이야기:)

대상포진 초기증상,예방접종,전염성

teamjang:) 2024. 8. 22. 08:00

안녕하세요! 강팀장입니다. 몸에 수포가 생기는 대상포진을 앓아보신 적 있으신가요? 몸에 면역력이 떨어지게 되면, 바이러스가 피부로 올라와 수포를 형성해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는 대상포진에 대해 이야기 나눠보려 합니다. 대상포진은 초기증상에 발견되었을 때 치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요. 대상포진 발견 후 72시간 이내에 치료해야 통증이나 후유증을 최소화 할 수 있다고 합니다. 대상포진의 초기증상,예방접종,전염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상포진 초기증상,예방접종,전염성

[대상포진]

띠 모양의 발진이라는 뜻으로 피부에 통증과 함께 신경대를 따라서 줄무늬 모양의 발진과 수포들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날카롭고 타는 듯한 심한 통증을 일으킵니다. 대상포진이 생기는 원인은 어릴 적, 수두의 원인이 되는 포진 바이러스 계열로 디헤르페스라고도 불리는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 때문입니다. 수두 바이러스에 걸렸다면 이 바이러스를 조심해야 합니다.

수두가 완전히 나은 후에도 바이러스가 없어지지 않고 신경 속에 남아있다가 몸이 약해지거나 면역력이 떨어질 때, 다시 세포막을 깨고 나와 피부에 바이러스성 감염을 일으킵니다. 대상포진은 피부에 붉게 돋아나는 발진, 눈 주위에 발진, 물집과 함께 통증, 눈물, 충혈이 오고 심하면 시력이 저하되는 증상도 나타날 수 있는데 대상포진의 발진과 수포는 몸의 한 부위에 생기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대상포진 초기증상]

주로 청장년들에게 많이 나타나지만, 최근에는 스트레스, 면역력 저하로 젊은 층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대상포진 초기증상을 나열합니다.

1.피부 통증 및 감각 이상

대상포진 첫 번째 증상으로, 통증 또는 감각 이상이 나타납니다. 발병 초기에는 피부가 따끔거리고 가렵고, 쑤시는 느낌이 들 수 있는데 이러한 통증이 몸 한쪽에만 발생합니다.

2.두통 및 근육통

대상포진 몇몇의 환자는 두통이나 근육통을 호소하는데, 바이러스가 신경을 따라 퍼지면서 발생되는 통증입니다.

3.피로감 및 발영

초기에는 피로감을 느끼며 가벼운 발열이 있을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가 다시 활성화되면서 면역 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4. 국소 림프절 부종

통증 부위 주변에 림프절이 부어오르는 경우도 있는데 몸이 바이러스와 싸우고 있다는 신호 때문입니다.

[수포없는 대상포진]

대부분의 대상포진은 피부에 붉은 발진과 수포가 있습니다. 하지만 대상포진에 걸리는 일부의 경우에는, 수포가 없는 대상포진으로도 발생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의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1.피부 발진 없음

수포없는 대상포진은 눈에 띄는 변화가 없어 육안으로 진단이 더 어렵습니다. 발진이나 수포가 있지 않아 근육통이나 다른 진

환으로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사진 넣기!!

2.강한 신경통

피부 발진이나 수포가 없기 때문에 진단이 어려울 수 있지만, 피부가 깊숙한 곳에서 찌르는 듯하거나 타는 듯한 통증이

느껴지는데 바이러스가 신경을 따라 퍼지면서 발생하는 통증입니다.

3.기타 전신 증상

수포가 없는 대상포진도 피로감,발열,두통 등의 전신 증상이 동반될 수 있지만 증상만으로는 대상포진을 확실히 진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신경통이 있는지를 고려해야 합니다.

[대상포진 예방접종]

대상포진은 수두 포진 바이러스가 주된 원인으로 수두 백신을 접종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상포진은 60세 이상의 고령자, 에이즈·암 환자, 과로·스트레스 등으로 면역력이 떨어진 사람에게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의 관리가 중요합니다. 균형 잡힌 건강한 식습관, 충분한 수면, 적절한 음주와 금연 등으로 몸을 건강하게 유지하여 면역력을 키우는 습관을 길러야 합니다!

대상포진 예방을 위해 50세 이상의 경우, 예방접종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방접종의 효과는 60대가 가장 크게 나타날 수 있는데 100%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대상포진 발생 비율을 50%, 그리고 대상포진 후 신경통 발생은 60% 정도 줄어드는  효과가 있습니다. 예방접종을 한 사람은 대상포진에 걸린다고 해도 조금 더 가볍게 앓고 지나갈 수 있습니다.

[대상포진 전염성]

대상포진 자체는 다른사람에게 전염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대상포진 환자의 수포 바이러스의 접촉을 통해 전염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바이러스에 노출된 사람이 대상포진이 아닌 수두에 걸릴 수 있게 됩니다. 이뉴는 수두를 일으키는 바이러스인 바리셀라 조스터 바이러스는 수두와 대상포진 둘다를 유발하기 때문입니다.

•대상포진은 직접 전염되지 않습니다.

•대상포진 환자의 수포에 접촉하면 수두가 전염될 수 있습니다.

•수두에 걸린 적이 있는 사람은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노출되어도 수두에 걸리지 않습니다.

•대상포진 수포가 딱지가 앉을 때까지 전염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대상포진 환자는 완전히 아물 때까지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임산부, 면역력이 약한 사람, 그리고 수두 예방 접종을 받지 않은 사람들은 대상포진 환자와의 접촉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상포진 치료]

대상포진은 처음 발견 후, 72시간 이내에 치료해야 치료 기간도 단축할 수 있고 통증이나 후유증도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고 합니다. 대상포진의 치료는 팜시클로비르발라시클로비르와 같은 경구용 항바이러스제로 치료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약물들은 노인과 같은 면역체계가 약한 분들에게 더욱 효과적입니다

이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대상포진이 의심되자마자 약물치료를 시작해야 합니다. 물집이 나타난 3일 후부터는 약물치료의 효과를 기대할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증상이 심한 경우, 신경이나 신경절에 국소 마취제 등을 주사해서 통증이 뇌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신경 블록 요법을 병행하여 대상포진 후 신경통을 예방할 수 있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대상포진 초기증상,예방접종,전염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대상포진에 걸렸다는 것은 현재 몸의 면역체계가 많이 떨어졌다는 사실입니다! 평소 건강한 습관으로 컨티션 조절 잘 하시기를 바랍니다! 혹시나 대상포진 초기증상이 보인다면, 바로 병원으로 가서 진료 받으세요!!! 다음에 다른 주제로 찾아보겠습니다:)